안정적 은퇴를 위한 학습 여정/[투자-주식 정보]

[투자-주식 정보] S&P500 관련 ETF 1년 수익율 비교

multihobby-syndrome 2025. 1. 11. 11:01

나는 개인연금, IRP, DC, ISA에 미국 ETF들을 담고 있다. 그동안 ACE, KODEX 등과 상관없이 S&P 500, 나스닥 100, 빅 테크 TOP7 Plus, 그리고 개별+채권 혼합 또는 개별주 밸류 체인 관련 주식들을 매수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미국 S&P 500'이라는 이름으로 매우 다양한 ETF가 출시되고 있어, 좋은 주식이 있다면 고려해 보려고 한다.

1) S&P 500 환헤지 관련 ETF

우선 환율 관련 ETF를 살펴보면, 환 헤지 ETF와 일반 ETF를 비교하였다. 최근 환율이 많이 상승했기 때문에 일반 ETF가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출처: ACE ETF

1년 환율(USD/KRW)을 살펴보면,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29일까지 USD/KRW가 13.76% 상승하였다.

따라서 일반 ETF의 수익률이 더 높게 나왔지만, 나중에 환율이 하락할 경우에는 일반 ETF보다 환 헤지 ETF(H) 쪽이 더 나을 것이다.

2) S&P 500 채권 혼합형 관련 ETF

이 비교를 하는 이유는 IRP나 DC에서 안전 자산 30%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 ETF를 구매하고 싶더라도, 약 30% 정도는 채권 혼합형 상품을 포함해야 한다. (다른 안전 자산도 가능하지만, 나는 채권 혼합형을 선택했다.)

일반 S&P 500이 지난 1년간 더 좋은 성과를 보인 이유는, 미국 주식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3) S&P 500 관련 ETF 중 '고수익' vs '기본' vs '배당'

올해 배당 관련 주에 투자한 사람들은 전반적으로 재미를 느끼지 못했을 것 같다. 내 생각에는 S&P 500 기본 ETF를 매수하는 것이 가장 나을 것 같다. 물론 시기에 맞게 비중을 잘 조절하는 사람은 다양한 ETF를 보유하는 것이 유리하겠지만...

또한 요즘 같은 고환율 상황에서는 (H)가 붙은 ETF가 더 나을지도 모르겠다. 환율이 지금 고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