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도 나는 열심히 시드머니를 모으며 총자산을 늘려가고 있다. 최근에 나는 조금씩 성과를 느끼고 있으며,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처음 시드머니를 모으기 시작하는 단계부터 최종적으로 복리가 느껴지는 단계까지를 3단계로 구분하여 정리해 보려고 한다.
모두들 눈덩이 효과로 복리를 설명하는데, 이 비유가 가장 적절한 것 같다. 그래서 나도 눈덩이를 통해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보려 한다.
1단계: 시드머니 > 이익(눈덩이에 붙는 눈)
매우 힘들고 지루하며, 다른 투자 유혹에 넘어가기 쉬운 단계

총 투자금(눈덩이) 상태
- 처음에는 시드머니를 조금씩 모아 한 주먹의 눈덩이를 만들었을 것이다.
- 12개월 동안의 월급에서 시드머니를 조금씩 모으는 과정이기 때문에, 눈덩이는 당연히 크지 못할 것이다.
- 이 시기에는 시드머니가 모아지는 과정이 단순히 1+1이 되는 과정이다.
- 예를 들면
- 200만 원씩 12개월이면 12 x 200만 원 = 2400만 원
- 연말엔 2400만 원에서 조금 이익이 붙는 정도 (때론 투자이기 때문에 원금보다 적어질 때가 있다.)
- 여기서 이익는 눈덩이를 굴릴 때 붙는 눈이라고 보면 되고, 눈덩이가 작다 보니 당연히 눈덩이에 붙는 눈은 눈에 띄지 않게 작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 예를 들면
감정 상태
- 나도 경험했던 것으로 1단계는 매우 지루하고 힘든 시기이다.
- 성과도 안 보이고 계속 다른 성과 좋을 투자(부동산 등)으로 눈이 돌리게 되고 조금 모은 목돈이라도 옮겨야 하나 이런 유혹에 빠진다.
- 거기에 폭락장을 경험했다면...
- 1단계에서 끝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 나도 코로나 + 러우 전쟁 등 지나면서 많은 딴 생각들을 하게 된 것 같다.
2단계: 시드머니 = 이익(눈덩이에 붙는 눈)
조금씩 투자의 여러 경험을 맛보고 이익을 경험하고 있는 단계

총 투자금(눈덩이) 상태
- 눈덩이가 이때부턴 굴리기 편할 정도로 커졌고 눈에 크게 띄지는 않지만 이익이 붙는 것을 느끼기 시작하는 단계
- 노동 소득과 자산 소득이 동일한 시기
- 예를 들면,
- 연봉이 5,000만 원이면 연간 이익이 5,000만 원 정도
- 약 5억 정도 총자산이 될 경우 10% 수익률 정도이다.
- 예를 들면,
감정 상태
- 투자하면서 여러 경험 즉, 폭락장, 폭등장 등을 경험한 시기이다.
- 그러면서 긴 시간 열심히 시장 상황과 시장에 대해 스터디를 많이 했을 시기이다. 그래서 그런지 투자에 대해 겸손함 + 자신감을 보유했을 시기
- 그러면서 조금씩 미래를 예측할 수 있고 계획을 해보는 단계이다.
2단계: 시드머니 = 이익(눈덩이에 붙는 눈)
자본 소득이 노동 소득을 추월해서 노동 소득이 전체 시드머니 비중에서 점차 줄어드는 시기

총 투자금(눈덩이) 상태
- 눈덩이의 면적이 매우 크기 때문에 눈덩이에 붙는 눈이 눈(이익)이 큰 상태
- 자산 소득이 노동 소득을 추월해서 노동 소득의 전체 시드머니 비중에서 점차 줄어드는 단계
- 3단계는 나를 포함하여 모두가 원하고 목표하는 단계일 것이다.
감정 상태
- 이때는 자산이 많이 모이다 보니 세금에 대한 걱정이 많은 단계로 절세를 위한 세금공부가 필요한 시기이다.
- 이 단계는 안 겪어 봐서 잘 모르겠지만,
- 공격적 투자 비중이 전체 비중에서 크지 않을 것 같다.
- 워런 버핏도 자산이 상승할수록 점차 수익률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내가 이 글로 정리해 본 이유는 핵심인 1단계를 잘 거쳐야 하는데 1단계에서 대부분 많이 힘들어하는 것 같고
2, 3단계의 목표를 설정해 보면 좋을 것 같아서 정리했다. (보통 투자자들은 7년 정도 지나야 복리를 느끼기 시작할 것이라고들 한다.)
그만큼 시드가 매우 중요한 것 같고 이전에 쓴 글처럼 규칙적으로 시드머니를 모으는 게 매우 중요한 것 같다.
https://multihobby-syndrome.tistory.com/10
[투자-생각과 계획] 규칙적인 seed money 축적
'목표'와 '달성 기간'을 생각해 보았다면, 이제 '방법'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때이다. 그 중에서도 시작이라고 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Seed money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다.B
multihobby-syndrome.tistory.com
'안정적 은퇴를 위한 학습 여정 > [투자-생각과 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생각과 계획] 기준 금리 내리면 채권이 오르나? 채권을 사야 하나? (1) | 2025.02.09 |
---|---|
[투자-생각과 계획] 비과세 자녀 주식 증여 & 20년, 30년 후 기대 자산 (2) | 2025.01.27 |
[투자 - 생각과 계획] 복리를 이해하고 투자 자신감 얻기 (1) | 2025.01.12 |
[투자-생각과 계획] 나이 대 별 배당 계획 (0) | 2025.01.12 |
[투자-생각과 계획] 규칙적인 seed money 축적 (0)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