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 은퇴를 위한 학습 여정/[투자-생각과 계획] 10

[투자-생각과 계획] 기준 금리 내리면 채권이 오르나? 채권을 사야 하나?

보통은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채권이 오른다는 생각으로 작년부터 많은 사람들이 채권을 구매하고 있을 것이다.하지만 현실을 그렇지 않았고 많은 사람들이 손해 보고 특히 장기 채권을 매수한 사람들은 손해를 더 많이 봤을 것 같다. 채권 투자를 알아보기 위해서 비교할 종목들을 정리해 봤다.채권 종목들[단기] iShares 1-3 Year Treasury Bond ETF (SHY)만기가 1년에서 3년 사이인 미국 재무부 채권에 투자[중기] iShares 7-10 Year Treasury Bond ETF (IEF)만기가 7년에서 10년 사이인 미국 재무부 채권에 투자[장기]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TLT)만기가 20년 이상인 미국 재무부 채권에 투자[전체 채권] Vanguar..

[투자-생각과 계획] 복리가 느껴지기까지의 3단계

지금도 나는 열심히 시드머니를 모으며 총자산을 늘려가고 있다. 최근에 나는 조금씩 성과를 느끼고 있으며,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처음 시드머니를 모으기 시작하는 단계부터 최종적으로 복리가 느껴지는 단계까지를 3단계로 구분하여 정리해 보려고 한다.​모두들 눈덩이 효과로 복리를 설명하는데, 이 비유가 가장 적절한 것 같다. 그래서 나도 눈덩이를 통해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보려 한다.1단계: 시드머니 > 이익(눈덩이에 붙는 눈)매우 힘들고 지루하며, 다른 투자 유혹에 넘어가기 쉬운 단계총 투자금(눈덩이) 상태처음에는 시드머니를 조금씩 모아 한 주먹의 눈덩이를 만들었을 것이다. 12개월 동안의 월급에서 시드머니를 조금씩 모으는 과정이기 때문에, 눈덩이는 당연히 크지 못할 것이다...

[투자-생각과 계획] 비과세 자녀 주식 증여 & 20년, 30년 후 기대 자산

미국 주식으로 은퇴를 준비하며, 복리의 힘으로 자산이 어떻게 상승하는지를 계산해 보았다.그래서, 자녀에게 비과세 한도 내에서 조기에 증여를 하면, 자녀가 성인이 되었을 때 큰 금액이 필요할 경우 부모로서 도와줄 고민이 줄어들 것이라는 점도 생각해 보았다.​1) 자녀 증여 한도우선 자녀 증여 한도에 대해 국세 상담 센터에서 간단히 알아보면,https://call.nts.go.kr/call/main.do 국세상담센터국세상담센터call.nts.go.kr정리하면, 미성년자 (19세 미만) 2000만 원, 성인이 된 이후 10년 단위로 5000만 원 비과세 증여 가능2) 자녀 증여 Best Case​그럼 다음과 같이 자녀에게 줄 수 있는 Best Case는 아래와 같다.아이가 태어나자마자 2000만 원 증여하고,..

[투자 - 생각과 계획] 복리를 이해하고 투자 자신감 얻기

나를 포함 많은 사람들과 대화를 하다 보면, 부자들이 비밀로 하지는 않지만 평범한 노동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투자를 시작한 지 몇 년이 되었지만, 나도 이제야 조금씩 느끼고 있는 것이 복리(Compound Interest) 이다.​내가 첫 번째 글에서 짧은 시간 안에 노후 준비를 완료할 목표를 세웠을 때, 몇몇은 이에 공감하지 못했을 것 같다. 하지만 내가 생각한 단 하나의 방법인 복리에 대해, 내가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그리고 그것이 정말로 맞는지 정리해 보려 한다.아인슈타인이 말하는 복리Albert Einstein​“Compound interest is the eighth wonder of the world. He who understands it, earns it ... he who..

[투자-생각과 계획] 나이 대 별 배당 계획

내가 투자에 대한 계획을 세웠을 때 40세~50세 / 50세~55세 / 55세~65세 / 65세~ 이렇게 나눠보았다.​40세~50세: 현금 자산 증폭의 시기지난 게시물 중 '나이 대 별 투자'에서 보면 "40대라면, 약 10~20년 내 월 생활비 500만 원으로 가정 시 총 15~20억의 은퇴자금이 마련을 해야 되는 것 같다."라고 결론을 지었다.실질 은퇴 나이가 49.3세인 점을 고려할 때, 이 구간에서는 최대한 노력해서 자산을 증폭시켜야 한다.이 나이 대가 가장 중요하다. 나는 이 시기를 안정적 미래를 위해 'V1 속도'를 가져야 할 시기로 생각한다.V 1은 이륙 결심 속도이다. 이륙 결심 속도란 이륙 도중에 절차를 중단했을 때 활주로를 이탈하지 않고 항공기가 멈출 수 있는 최고 속도를 말하며, 이 ..

[투자-생각과 계획] 규칙적인 seed money 축적

'목표'와 '달성 기간'을 생각해 보았다면, 이제 '방법'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때이다. 그 중에서도 시작이라고 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Seed money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다.Bull market에서 의미 있는 이익을 얻을 수 있을 정도의 Seed money를 마련했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그 전까지는 규칙적으로 목표를 위해 Seed money를 확보해야 한다.Seed money규칙적으로 Seed money를 축적했던 방법을 적어보았다.​1. 예산 설정지출 계획 수립: 매달 필수 지출과 Seed money를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2. 자동 이체 활용자동 이체 설정: 월급날에 맞춰 1번에서 정한 Seed money를 각 계좌로 자동으로 이체하는 설정을 해야 한다.​3. 소비 ..

[투자-생각과 계획] 나이 대 별 투자

연령 별 투자 법칙지난번에 목표자산에 대해 생각해 보았는데 이 목표자산을 어느 기간 동안 달성이 되어야 할지 적어보려고 한다.​투자의 방법에는 정답이 없다. 안 정형을 선호하는 사람도 있고, '야수의 심장'처럼 공격적인 투자를 선호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나이대에 따라 자산 상황과 노동력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투자 방법도 다르게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예를 들어, 30대 이전까지는 공격적인 투자 비중이 커도 무방하다. 이 연령대는 노동력이 뛰어나고 시간이 많기 때문에 공격적인 투자가 가능하다. 만약 투자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회복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리스크를 감수할 수 있는 시기이다.반면, 40대 이후부터는 보수적인 투자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모아놓은 자산을 함부로 공격적인 투자에..

[투자-생각과 계획] 목표 세우기 (은퇴 자산)

긴 여정을 떠나려면 목표가 있어야 하는 건 당연한 일이다. 그렇지 않으면 길을 일게 되겠지...그럼 얼마를 목표로 삼아야 은퇴가 가능한 걸까? (나는 우선 살고 있는 주택과 국민연금은 제외하기로 하였다.)​보통 은퇴자산을 이야기할 때 은퇴 후 본인이 원하는 생활비를 정한 후 1년 생활비를 계산, 그리고 1년 생활비의 25배를 하면 된다고 한다.만약, 필요한 1달 생활비가 500만 원이다. 그럼 1년엔 6000만 원 x25를 하면 15억이 나온다.그럼 목표는 15억?​하지만, 슬프게도 여기서 끝이 아니다...물가란 것이 있다. 인플레이션으로 물가가 증가되고 지금의 500만 원 가치가 5년 후 또는 10년 후 동일 500만 원이 아니게 된다.물가 상승률을 보면, 2023년 기준 3.6% 정도 되고 앞으로도 ..

[투자-생각과 계획] 투자와 투기의 경계선

1) 투자와 투기의 정의​투자를 하려면 가장 먼저 고민해야 할 것이 투자와 투기를 구분하는 것이다. 우선, 투자와 투기의 정의를 네이버 국어사전에 물어보았다. 출처: 네이버 국어사전내용으로만 봐도 투자와 투기의 차이점을 크게 느끼지 못하겠다. 그래서 가끔 사람들은 투기를 하면서도 이를 투자라고 하기도 한다. 나 역시 오랫동안 이 두 가지의 경계선을 넘나들었던 것 같다.특히 미국 주식을 시작하던 초반에는 회사에 대해 잘 모르면서 고점인지 저점인지도 모르고, 단순히 좋다고 생각하면 막 샀던 것 같다. 그 결과 일부 주식은 50~90% 폭락을 겪기도 하였다.​2) 월가의 대가들은 뭐라고 했을까?벤저민 그레이엄(Benjamin Graham) 벤저민 그레이엄(Benjamin Graham)"보통주에 대한 투자와 투..

[투자-생각과 계획] 은퇴를 위한 여정 첫 이야기

나의 안정적 은퇴를 위한 여정을 시작하게 된 동기직장 생활을 하면서 40대가 되자,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은퇴 시기를 내가 정할 수 없겠구나. 준비가 안 된 상태라면, 나이가 들어 나의 경쟁력이 떨어져서 권고사직을 당하거나, 자신감이 떨어져서 회사가 나를 밀어내기 전에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며 처절하게 남으려고 애쓰는 모습이 상상되었다.그래서 나는 은퇴의 시기도 내가 결정할 수 있고, 회사에서 밀려날 압박에서 자유로운 삶을 살고 싶다는 결심을 하게 되었다. 미래를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준비를 부동산에서 주식으로의 전환당시에는 미국 주식보다는 부동산으로 은퇴 준비를 하려는 생각이 대부분이었다. 1주택을 보유한 상태였고 나름 투자 중에 부동산을 알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었을 때여서 다주택, 상..